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기술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데 민·관이 함께 총력을 다하기 위해 지난 4월 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가전략기술 주요 기업, 대학, 연구 기관 등의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전략기술 미래대화」(이하 ‘미래대화’)를 개최했다.
미래대화는 대내외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산·학· 연의 역량을 총결집하고자 시작되었다. 최근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와 더불어, 인공지능 대전환으로 기술 패권 경쟁이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는 등 경제·산업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국가전략기술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주권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정부는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2023년 9월 시행, 이하 ‘국가전략기술육성법’)을 근거로 신산업, 미래 공급망 및 국가안보 차원에서 전략적 가치가 높은 국가전략기술에 연구개발 투자·지원을 집중해 왔고, 올해는 6.4조 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미래대화에서는 과학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차세대 성장동력 및 국가 의제 발굴, 국가전략기술이 실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인재 양성, 제도 개선 등을 국가전략기술 대표 산·학·연이 정부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미래대화 시간에 이어서는 ‘국가전략기술 확인서 수여식’이 개최됐다. 이날 과기정통부 장관은 6개 기업 대표 및 연구소장에게 확인서와 현판을 수여하였다.
과기정통부는 미래대화 이후 참여기관 및 관계 부처 등으로 구성된 실무 추진위원회를 주기적으로 개최하여 국가전략기술 의제 발굴 및 규제·제도 개선 방향 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논의된 사항을 토대로 2025년 9월 말 「국가전략기술 정상회의」를 개최하여 산·학·연, 국제 두뇌집단 등이 함께 하는 자리에서 과학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공동의 방안을 발표하고, 향후 추진 사항 등을 공유할 계획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