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경제/시사
전체글 360-small.jpg)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시대 1인 미디어 산업 기반 강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미디어 신(新)산업 육성을 위한 1인 미디어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디지털 문명을 열다 한국판 뉴딜 실행 가속화
정부는 새해 첫 한국판뉴딜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한국판 뉴딜의 핵심축을 담당하고 있는 ‘디지털 뉴딜’의 2021년 실행계획을 의결했다. 디지털 뉴딜은 2025년까지 총 58.2조 원을 투자해 우리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을 가속화하고 약 9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국가 혁신 프로젝트다.

POST ICT아마존과 알리바바 사례로 살펴보는 스마트 물류센터 트렌드
첨단 스마트 물류센터에서는 로봇과 사람이 함께 작업하여 물품을 분류, 운반, 보관한다. 로봇은 무거운 물품을 처리하는 데 주로 이용되는 반면, 사람은 보다 높은 판단이 필요한 작업을 한다. 아마존과 알리바바는 로봇,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과 같은 최신 테크놀로지를 적극 이용해 첨단 스마트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들이다.
-small.jpg)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5세대(5G) 이동통신 급 성능 차세대 와이파이 구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가 6기가헤르츠(GHz) 대역(5,925~7,125MHz, 1.2GHz 폭)을 차세대 와이파이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광대역 비면허 통신용 주파수로 공급한다.

POST ICT자율주행트럭이 가져올 물류 혁신의 미래
많은 전문가들이 가장 먼저 자율주행시대를 맞이하게 될 일순위 차량으로 트럭을 꼽았다. 트럭은 주로 고속도로 구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율주행 기술의 구현이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 또한 비용 절감, 안전, 환경보호 등 자율주행트럭의 이점이 명확하기에 물류기업과 트럭 소유주로서는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다.무엇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언택트 문화와 배달 수요가 급증하면서 자율주행트럭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상용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디지털 뉴딜의 핵심, ‘데이터 댐’ 사업 본격 착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가 지난 7월 발표된「디지털 뉴딜」 대표과제인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7대핵심사업을 수행할 주요기업 등을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9월 2일 밝혔다.

POST ICT언택트 시대의 자율주행 무인매장과 이동우체국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 회장은 온오프라인의 소비 경험을
결합한 ‘신유통’을 주창한 바 있는데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모델이 무인매장이다. 미국의 아마존고(Amazon Go), 중국의 무인편의점
F5미래상점(F5未来商店)과 빙고박스(BingoBox, 缤果盒子) 등이 유명한 사례다. 최근에는 무인매장에 자율주행차량을 결합한 자율주행 무인매장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POST ICT스마트 물류센터를 위한 무인운반차 팔레타이징 로봇
무인운반차(AGV: Automated Guided Vehicle)는 공장이나 창고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설비로 지게차 방식, 견인차 방식, 컨베이어 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최근 들어 물류센터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무인운반차 업체들의 경쟁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위한 민관합동 범정부 지원단 및 범정부 실무추진단 구성 1차·2차 회의 개최하고 연구개발 적극 지원
지난 4월 9일 대통령 주재 산·학·연·병 합동회의를 계기로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민관합동 범정부 지원단(이하 범정부 지원단)이 구성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최기영 장관은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과 함께 범정부 지원단의 공동단장을 맡았다.

POST ICT투명하고 믿음직한 디지털 시대의 신뢰 기계 블록체인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블록체인을 '신뢰 기계(The Trust Machine)'라고 표현했다. 블록체인에서는 사람 대신 기계가 사회적 신뢰에 기반한 거래를 수행하고 보증한다는 점에서, 블록체인의 본질을 간파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사회적 약자의 어려움 해결, 지능정보기술이 앞장섭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최기영)는 지능정보기슬을 활용하여 사회적 약자의 어려움을 해결하는「사회현안해결 지능정보화사업」을 3월 12일(목)부터 4월 14일(화)까지 공모한다고 밝혔다.

POST ICT배달 서비스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배달 로봇
이제 로봇 시장은 기존 제조용 로봇에서 벗어나 ‘서비스 로봇(Service Robot)’으로 혁명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서비스 로봇은 공장에서 사용되는 제조용 로봇을 제외하고 인간을 위해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자율성을 갖춘 로봇을 뜻한다.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바로 자율주행 ‘배달 로봇(Delivery Robot)’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인공지능 시대와 데이터 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데이터 3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에 따른 후속조치로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자원인 데이터 개방·유통 확대를 추진하고, 데이터 간 융합과 활용 촉진을 통해 데이터 산업 육성을 본격 지원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2020년 기초연구에 1.52조원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2020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을 마련하여 공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020년 개인연구 1조 2,408억 원, 집단연구 2,789억 원 등 전년 대비 3,191억 원 증액된 1조 5,197억 원 규모를 지원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인공지능 빅데이터 국제표준 한국이 이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국립전파연구원은 ISO/IEC JTC 1/SC 42(인공지능)* 제4차 국제표준화회의(일본 도쿄, 10. 7.~10. 11.)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빅데이터 분야의 표준안이 국제표준으로 승인되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 R&D 내년 두 배로 확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기초·원천 R&D 분야에 투자규모 대폭 확대, 투자 효율 제고를 위한 R&D 추진방식 혁신과 부처 간 칸막이 해소, 개방·공유·협력의 R&D 인프라 확충 등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small.jpg)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제2차 ICT R&D 혁신 바우처 지원’ 사업 공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신속한 ICT 기술 확보와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정보통신방송(ICT) 연구개발(R&D) 혁신 바우처 지원’ 사업에 추경예산 40억 원을 편성하고 본격 지원에 나선다.”라고 밝혔다.
![[e기자] 정보보호를 위해 힘쓰는 사람들, 정보 보호 직업 소개](/upload/protect_thumb(0)-small.jpg)
ICT talk talk[e기자] 정보보호를 위해 힘쓰는 사람들, 정보 보호 직업 소개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9월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앞두고 다양한 공모전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WSCE 2019)’의 사전행사로 메이커톤, 어린이 그림 그리기 대회, 대학생 아이디어 경진대회 등 국민 참여 행사를 실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 동향2020년부터 어디서나 초고속인터넷 이용 가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6월 11일 초고속인터넷을 보편적 역무로 지정하고, 가입사실 현황조회·가입제한 서비스 및 경제상의 이익인 마일리지 고지를 의무화하는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을 공포했다.